-
[GitHub 사용법] [MacOs]GitHub 시작하기Git/Github 2022. 7. 12. 15:21728x90반응형
목차
깃허브 계정을 등록하였고
https://owening2.tistory.com/2
[GitHub 사용법] GitHub 계정 등록
개발자들에게 필수 요소의 서비스중 하나인 GitHub 입니다. 코딩 초보자들에게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코딩 초보자들도 쉽게 GitHub를 사용할 수 있도록 Git의 사용법을 소개 하겠습니다. 목
owening2.tistory.com
깃을 설치 하였고
https://owening2.tistory.com/4
[GitHub 사용법] Git 설치
목차 Git 설치 Git을 사용하려면 우선 설치해야한다. 이미 설치 했으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게 좋다.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인스톨러로 설치할 수 있다. 아니면 직접 소스코드를 내
owening2.tistory.com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었다면
https://owening2.tistory.com/5
[GitHub 사용법] 새로운 저장소 만들기
목차 GitHub에서 저장소를 만드려면 먼저 GitHub계정이 존재하여야 합니다. 관련글 : https://owening2.tistory.com/2 [GitHub 사용법] GitHub 계정 등록 개발자들에게 필수 요소의 서비스중 하나인 GitHub 입니다..
owening2.tistory.com
비로소 GitHub 하기전 준비를 다 했다고 볼 수 있다.
GitHub의 아까 만들어둔 저장소에 들어가면 다음 화면과 같다.
Code를 누르면 Repository 주소가 나오는데 깃을 연결할 때 쓰일 주소이다. 복사해둔다.
깃허브 계정 초기 설정
터미널을 열고 아래 코드를 적는다. 이 작업을 하지 않으면 저장소에 올릴 때마다 정보를 입력해야 해서 귀찮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이메일"
그리고 소스코드를 올릴 로컬 저장소를 찾아간다.
깃허브에 올리고 싶은 폴더로 가서 터미널을 연다.
그리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한다. 레파지토리 주소에는 아까 복사해둔 것을 붙여넣기 해준다.
git init, git remote
git init는 새로운 Git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Git명령어 입니다.
git remote 명령어를 이용해서 로컬저장소에 연결합니다.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레파지토리주소.git
그리고 git status를 입력하여 깃의 현재 상태를 확인해본다.
git status
폴더안에 파일들이 있는데 add하지 않아서 빨갛게 뜬다.
git add, git commit
git add . 를 입력한다. 모든 파일들을 트랙킹한다.
git add .
원하는 파일만 업로드 할때는 git add 파일명 하면 된다.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입력
버전이나, 수정사항을 적어두면 나중에 확인하기 편하다.
git push
마지막으로 git push origin master(main) 입력하여 마스터 브런치에 올린다.
git push origin master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시험 삼아 넣어본 test.ipynb가 업로드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사용법] Git intro (0) 2022.07.15 [GitHub 사용법] Git clone 사용하기 (0) 2022.07.12 [GitHub 사용법] 새로운 저장소 만들기 (0) 2022.07.12 [GitHub 사용법] Git 설치 (0) 2022.07.12 [GitHub 사용법] GitHub 계정 등록 (0) 2022.07.12